중화학공업의 육성(1973∼1979)
1. 배경
○ 중동지역의 정치적 불안의 여파와 전세계적 석유수요 급증에 기인한 제1차 석유파동으로 선진국은 물론 당시 경공업 중심의 수출주도의 경제성장을 추진하던 우리 경제도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되었음.
○ 1970년대 초 제3차 경제개발 계획을 수립하던 정부는 중화학공업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중화학공업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1973년 중화학공업화를 선언하였음.
- 철강, 화학, 비철금속, 기계 조선, 전자 등 6개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선정하여 금융, 조세, 재정, 기술지원 등 다양한 분야의 정부지원과 함께 막대한 자원을 이들 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입하기 시작하였음.
○ 중화학공업화 추진 배경
- 첫째, 제1, 2차 경제개발5개년 기간중 수입대체 또는 공업구조고도화 차원에서 육성하던 철강, 석유화학, 조선, 자동차, 기계 등 중화학공업은 규모의 경제가 중요한 산업으로 당시의 제한된 소규모의 국내 시장만으로는 적정규모의 설비를 갖추기 어려웠음.
- 둘째, 1970년대 세계적인 불황으로 대선진국 수출이 부진한데다 신보호무역주의가 대두되고, 저렴한 노동력을 가진 후발개도국이 당시 우리 경제의 주력 수출제품분야로 수출을 확대함에 따라 경공업을 통한 수출과 경제성장의 지속적인 확대가 점차 어려위지기 시작하였음.
- 셋째, 1960년대 중반이후 수출산업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으로 우리나라 수출상품 구조가 종래의 비내구소비재 중심에서 내구소비재와 노동집약적 중간재 중심으로 변해감에 따라 기계 설비 등 자본재와 석유화학, 철강 등 자본집약적 중간재의 국내생산 필요성이 크게 증대되었음.
- 넷째, 미국의 탈공업화, 일본의 공해문제 및 석유파동 등으로 인해 선진국의 조립가공형, 공해유발형, 에너지 다소비형 중화학산업들이 후진국으로 이전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음.
- 다섯째, 국제정치 환경과 남북관계의 변화로 인해 북한과의 체제 경쟁을 위한 국력증강과 자주국방의 필요성이 커졌고 이에 따라 정부는 필요시 방위산업으로 즉시 전환할 수 있는 중화학공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자 하였음.
2. 주요 산업의 발전상
○ 1970년대 들어서면서 우리나라 수출상품구조가 종래의 비내구소비재 중심에서 내구소비재와 노동집약적 중간재 중심으로 변해감에 따라 기계, 자동차 등 자본재와 철강, 석유화학 등 자본집약적 중간재의 국내생산의 필요성이 크게 증대되었음.
- 1970년대부터 우리나라의 공업화는 석유화학, 철강 등 중간재 산업과 조선, 자동차 등 수송기계 산업을 중심으로 본격화되었음.
<석유화학산업>
○ 중화학공업중에서 가장 먼저 발전기반을 갖추고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간 산업은 석유화학산업이었음.
○ 석유화학산업은 1960년 수출주력 업종이었던 섬유, 의복 등 경공업의 자립 기반 확충 차원에서 그 어떤 산업보다 필요한 산업이었음.
- 1963년 한국나일론이 생산을 시작한 이후 화학섬유 산업이 면방업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였음.
○ 이러한 화학섬유산업의 발전은 함섬섬유를 만드는 석유화학 산업의 성장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으며 1972년 울산 석유화학 콤플렉스가 완공된 이래 주요 중간원료의 해외 수입의존도가 급격히 낮아지기 시작하였음.
○ 수요산업과 연계되어 발전을 거듭한 석유화학산업은 1970년대 중반 이후 내수와 수출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1979년 기초유분에서 유도품에 이르기까지 일관생산체제를 갖춘 여천석유화학단지 콤플렉스가 구축되기에 이르렀음.
○ 이러한 화학섬유와 석유화학산업은 당시의 산업발전과정의 수요산업과 중간재 공급산업간의 긴밀한 관계형성에 주목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민간의 과감한 투자를 기반으로 발전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음.
<철강산업>
○ 석유화학산업과 마찬가지로 대표적 중간재산업인 철강산업도 제1, 2차 경제발전계획을 통해 어느 정도 성장 기반을 구축하였으나 생산능력은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었음.
○ 1970년대 초반 강재생산은 겨우 내수를 충당하는 수준이었으며, 제강능력은 빈약하였고, 제선능력은 더욱 심각한 수준이었음.
○ 그러나 1973년 연산 백만톤의 조강능력을 갖춘 포항종합제철소가 완공되고, 이후 그 규모를 확장해 감에 따라, 조선, 자동차, 일반기계 등 자본재산업과 국내 건설, 사회간접자본 구축에 소요되는 철강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게 되었음.
○ 또한 1972년 5개업체, 43만톤 생산수준에 불과했던 전기로 설비업체가 이 기간 중 급속히 증가하면서 1985년에는 14개업체, 910만톤 수준으로 성장, 우리나라의 공업발전에 필요한 핵심 소재의 수급상 애로를 해소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였음.
<조선산업>
○ 1960년대만 하더라도 경제재건 움직임과 함께 해상수송량이 증가하면서 연근해 수송에 필요한 선박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그동안의 목선건조 체제에서 강선건조 체제로 전환하였음.
- 최대 건조선박은 1만2,000톤급에 불과하였음.
○ 그러나, 1970년대 들어와 우리나라 조선산업은 정부의 중화학공업화 추진에 따라 주요 전략산업으로 육성됨에 따라 현대화된 대형조선소 건설과 함께 세계 조선시장에 본격 진출하는 도약기를 맞게 되었음.
○ 1974년 현대중공업이 600미터 대형도크를 건설하고, 450톤급 골리앗 크레인을 설치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대형조선소로 등장하면서 조선산업의 대형화와 현대화가 적극 추진되었음.
- 1973년부터 해외로부터 대형 탱커(VLCC)를 수주받음으로써 조선산업의 경쟁력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이룸.
○ 대우중공업, 삼성중공업, 현대미포조선 등의 대형 조선소들이 그 이후 건설되었으며, 이 결과 1979년 우리나라 조선능력은 약 280만톤으로 1970년에 비해 15배 가량 증가하였음.
- 건조 가능한 최대 선박의 크기도 12만 6,000톤으로 10배 이상 증가하였음.
<자동차산업>
○ 1970년대 들어서면서 정부의 장기 자동차공업진흥계획에 따라 국내수요는 물론 해외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하는 고유 모델개발과 양산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는 수출산업화 전략이 추진됨에 따라 자동차산업의 발전이 본격화 단계에 진입하기 시작하였음.
○ 1974년 자동차산업은 현대, 기아, 지엠코리아(76년에는 새한, 83년에는 대우)라는 새로운 3사체제로 개편되었음.
- 현대자동차는 1975년 국산화율 90%의 고유 모델 포니를 개발하고, 1976년부터는 수출을 하기까지에 이르렀으며, 이 결과 1977년부터는 자동차의 국내 생산이 국내 수요량을 상회하기 시작하였음.
<기계산업>
○ 1970년대 초까지 우리나라의 산업화는 필요한 설비와 기계를 해외에서 턴키( turn-key) 방식에 의존, 통째로 수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며, 우리나라의 자본재산업은 간단한 기술의 조립생산 단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실정이었음.
- 농업, 광업, 섬유산업 등 경공업에서 사용되는 기계를 주로 생산하는 수준이었음.
○ 그러나 1973년 정부가 장기 기계공업육성계획을 수립한 이래 창원기계공업단지를 건립하여 턴키방식을 지양하고 플랜트의 국산화를 추진하였음.
○ 이와 함께 정부의 집중적인 육성정책, 중화학공업화에 따른 내수기반의 확충, 민간 기업의 활발한 투자, 포항, 여수 등 중간재 공업지역으로부터의 원활한 소재공급 등에 힘입어 1970년대 후반부터는 기계산업이 급성장하기 시작하고 자본재의 자급도가 향상되는 등의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음.
자본재산업의 수급구조와 성장률
단위: 수출입은 백만달러, 기타는 10억원, %
연도 |
생산 |
수입 |
내수 |
수출 |
수출/생산 |
생산/내수 |
수입/내수 |
1966 |
7 (1.7) |
89 |
31 |
1 |
2.5 |
23.0 |
77.6 |
1967 |
11 |
114 |
42 |
3 |
7.3 |
26.9 |
75.0 |
1970 |
20 (1.5) |
250 |
96 |
3 (0.4) |
4.9 |
20.4 |
80.6 |
1972 |
29 |
306 |
146 |
14 |
18.5 |
20.1 |
83.6 |
1973 |
65 (1.8) |
478 |
246 |
24 |
14.8 |
26.3 |
77.6 |
1977 |
359 (2.3) |
1,201 |
911 |
61 |
8.2 |
39.4 |
63.8 |
1980 |
854 (2.4) |
1,705 |
1,756 |
208 (1.3) |
14.7 |
48.6 |
58.5 |
1981 |
1,176 |
1,761 |
2,185 |
290 |
16.9 |
53.8 |
55.2 |
1985 |
2,640 (3.4) |
2,574 |
4,467 |
483 (1.7) |
16.0 |
59.1 |
50.3 |
1987 |
4,886 (4.3) |
4,833 |
8,095 |
866 |
14.3 |
60.4 |
48.3 |
1988 |
5,429 |
5,750 |
8,615 |
1,375 (2.3) |
18.5 |
63.0 |
48.6 |
67-72 |
26.3 |
22.8 |
29.2 |
65.2 |
연평균 성장률 | ||
73-80 |
52.4 |
24.0 |
36.4 |
40.6 | |||
81-88 |
26.0 |
16.4 |
22.0 |
26.6 | |||
67-88 |
35.1 |
20.8 |
29.1 |
41.4 |
자료: 한국산업은행조사부, 『자본재산업의 장기발전전망』, 1989
주 : 1. 생산 난과 수출 난의 괄호 속은 제조업에 대한 비중
2. 자본재산업의 범위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의하면 기관·터빈 제조 업(3821), 사무·계산·회계용 기계제조업(3825), 대부분의 서비스산 업용 기계제조업(3826)등을 제외한 기계제조업
<전자산업>
○ 1970년대 우리나라의 전자산업도 새로운 발전의 전환기를 거쳐 주도적인 수출산업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음.
- 특히 1974년 컬러 TV의 조립생산과 함께 정부가 전자제품의 중점 육성품목과 생산업체를 선정하는 등 다양한 지원 정책과 민간기업들의 노력에 의해 전자산업은 수출산업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음.
- 이 시기에는 보다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게 됨에 따라 선진국의 기술을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였음.
○ 이와 같은 성장기반의 확충으로 인해 1966~1979년 기간 중 전자산업 생산과 수출의 연평균증가율이 각각 47%, 62%에 달할만큼 비약적인 성장을 이룩하여 우리나라 산업의 고도화와 중화학공업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.
3. 주요 정책과 정부의 역할
○ 정부는 기존의 중화학공업화의 수출산업화를 위해 정부주도의 특정 산업 지향형 대규모 투자와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갖추어 일관되게 추진하였음.
- 1973년 5월 범정부기구인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를 발족하여 ‘중화학공업 육성에 관한 지침’을 발표하여 강력한 지원체계를 구축하고, 1973년 12월에는 「국민투자기금법」을 제정하여 이를 뒷받침하였음.
○ 구체적으로 철강, 비철금속, 석유화학 등 소재산업과 조선, 기계(자동차 포함), 전자 등 최종재 조립장치산업의 발전을 위해 1973~1981년간 약 2조 9800억원(1970년 불변가격기준)의 자금을 투입한다는 계획을 수립함.
- 이러한 투자규모는 동 기간 제조업 전체 투자의 64%에 해당됨.
중화학공업화 6개 주요업종 개발계획 내용
목표연도 |
규모 |
자본조달(1973~81, 백만 달러) |
대표기지장소 | ||||||
외수 |
내수 |
합계 |
구성비 (%) |
||||||
철강 생산능력 |
1976 |
409.2만 M/T |
1502 |
674 |
21769 |
24.6 |
포항 | ||
1981 |
1470만 M/T | ||||||||
비철금속(생산능력) |
은 |
연10만 M/T |
222 |
123 |
345 |
3.9 |
온산 | ||
아연 |
연8만 M/T | ||||||||
연 |
연5만 M/T | ||||||||
알미늄 |
연10만 M/T | ||||||||
기계공업(생산능력) |
1981 |
48억달러 (GNP 13.6%) |
1049 |
1137 |
2186 |
24.7 |
창원 | ||
조선 (생산능력, 수출) |
생산 |
1980 |
545 |
416 |
352 |
768 |
8.7 |
옥포 죽도 | |
1985 |
920 | ||||||||
수출 |
1980 |
10억달러 | |||||||
1985 |
29억달러 | ||||||||
전자 (생산능력, 수출) |
수출 |
1981 |
25억달러 |
593 |
599 |
1192 |
13.5 |
구미 | |
화학 |
석유정제 |
1981 |
1225만 배럴/일 |
1523 |
662 |
2185 |
24.7 |
여천 울산 | |
석유화학 |
1981 |
60만 M/T | |||||||
(에틸렌기준) |
1986 |
150만 M/T | |||||||
비료공장 |
1975 |
국제규모 | |||||||
합계 |
1981 |
- |
5305 |
3547 |
8852 |
100 |
자료: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기획단, 「중화학공업육성계획」, 1973; 중화 학공업추진위원회 기획단, 「중화학공업 추진현황」, 1979.
○ 당시 정부의 중화학부문에 대한 지원은 주로 재정투융자형식의 재정지원과 함께 금융지원 및 조세감면을 통해 이루어졌음.
- 정부는 재정지원과 함께 민간기업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금융과 세제상의 우대조치 등 정책적 지원정책을 추진하였음.
- 특히 금융지원은 앞서 제정되었던 개별산업의 육성법에 의해 일정한 기준에 해당하는 업종과 기업에 대한 개별 공업기금의 지원, 저리의 정책금융대출, 산업지원자금 형식의 저리자금대출 등을 통해 이루어졌음.
○ 우선 중화학공업부문에 대한 투자촉진을 위한 재정융자는 국민투자기금법에 의해 설치된 국민투자기금의 저리융자를 통해 이루어졌음.
- 1974년 이후 1981년에 이르기까지 재정투융자에서 차지하는 국민투자기금의 비중은 80%~90%에 달하였으며, 그 중 중화학공업부문에 대한 지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기간 중 평균 67.9%에 달하였음.
국민진흥기금의 중화학공업 지원추이
1974 |
1975 |
1976 |
1977 |
1978 |
1979 |
1980 |
1981 |
合計 | |
국민투자기금(A) |
626 |
1066 |
4607 |
2013 |
3626 |
4397 |
4384 |
5430 |
23149 |
중화학공업지원(B) |
343 |
477 |
938 |
1485 |
2523 |
3152 |
2967 |
3830 |
15715 |
비율 (B / A) |
54.8 |
44.7 |
58.4 |
73.8 |
69.6 |
71.7 |
67.7 |
70.5 |
67.9 |
자료: 재무부,「재정투융자백서」, 1982
주 : 1) 중화학공업지원은 연불수출을 포함한 것임.
2) 나머지는 식량증산사업, 새마을 공장, 전기업 등에 대한 지원임.
○ 한편, 이러한 재정융자만으로는 방대한 규모의 투자재원을 충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중화학부문에 대한 대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산업지원자금형식의 금융지원이 함께 이루어졌음.
- 이는 주로 당시 정부의 철저한 통제 하에 있던 산업은행의 대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당시 산업은행자금의 대부분이 중화학공업에 집중적으로 대출되었음.
○ 이러한 재정 및 금융의 집중지원과 함께 조세상의 지원도 중화학공업부문에 집중되었음.
- 중화학공업이 중심이 되는 이른바 14개의 주요산업에 대해 처음 3년간 100%, 다음 2년간은 50%를 감면하는 내국세의 감면혜택과 70%~100%의 관세감면 혜택이 제공되었음.
○ 이와는 별도로 중화학공업의 각종 시설재 수입시 관세감면, 설비투자시의 법인세 감면 등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졌음.
- 중화학제품의 수출을 장려하기 위해 수출에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소득세 또는 법인세의 50%를 감면해 주 는 혜택이 부여되었음.
○ 한편 중화학공업의 육성을 위해 정부는 중화학공업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인력의 공급을 위해 각종 전문학교 및 직업교육기관을 확대·신설하였음.
○ 또한 중화학공업이 요구하는 기술 확보를 위해 정부출연연구소를 신설하는 등 중화학공업의 발전과 관련된 인프라 구축에 많은 투자를 하였음.
○ 이처럼 1970년대 초반 정부의 중화학공업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에 힘입어 우리나라의 제조업은 이 시기를 기점으로 선진국형 산업구조의 기틀을 잡아가기 시작하였음.
- 당시 정부의 집중지원을 받게 된 중화학공업은 1970년대 연평균 20.9%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하고, 1979년 중화학공업화율이 51.2%에 달하는 성과를 거둠으로써 우리나라 경제는 이 시기에 제조업의 본격적인 구조고도화 계기를 마련하였음.
- 동시에 수출에서 중화학공업제품이 차지하는 비중도 1970년 12.8%에서 1980년 41.5%로 증가하여 우리나라의 산업 및 수출구조가 비로소 선진국형으로 전환하기 시작하였다고 할 수 있음.
중화학공업화의 진전추이
단위 : %
연도 |
공업화 |
수출상품구조 | |||
중화학공업 |
경공업 |
중화학공업 |
경공업 |
1차산품 | |
1970 |
37.8 |
62.2 |
12.8 |
69.7 |
17.5 |
1973 |
40.5 |
59.5 |
23.7 |
63.4 |
12.9 |
1975 |
46.4 |
53.6 |
25 |
57.4 |
17.6 |
1976 |
46.8 |
53.2 |
29.1 |
58.8 |
11.8 |
1977 |
48.5 |
51.5 |
32.2 |
53.6 |
14.2 |
1978 |
48.8 |
51.2 |
34.6 |
45.5 |
10.9 |
1979 |
51.2 |
48.8 |
38.4 |
51.4 |
10.1 |
1980 |
52.6 |
47.4 |
41.5 |
49.4 |
9.1 |
자료:1) 한국은행 (1982), 「한국의 국민소득」
2) 한국무역협회, 「무역동향」, 각년도판
주 :1) 1975년 불변가격, 부가가치기준
2) 경상가격, 통관기준
○ 1973-1979년 기간 중 정부주도의 중화학공업화에 대한 성과에 대한 평가는 크게 부정적 평가와 긍정적 평가로 양분됨.
○ 부정적 평가는 주로 이 기간 중 정부의 중화학공업부문에 대한 집중투자 결정이 당시 우리나라의 경제여건이나 발전단계에 비추어 볼 때 합리적인 결정이 아니었다고 평가함.
- 또한 이러한 정부주도의 중화학공업부문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에 비해 경제적 성과가 크지 않거나 불필요한 경제적 왜곡 등 오히려 여러 가지 문제점만 야기했다고 평가함.
○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주로 정태적 비교우위론에 기초한 논리적 관점의 평가이거나 단기적 관점에서 지나치게 단순화된 정책결과의 평가에 기초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음.
-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는 당시 대내외 여건 변화에 부응한 우리 산업의 구조전환의 필요성 등 내적 필요성에 의해 추진되었던 것임.
- 또한 중화학공업화의 주요 대상산업들이 장치산업이며 자본회임기간이 길다는 산업특성에 비추어 볼 때, 이 기간 중의 정부정책에 대한 평가는 장기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합리적일 것임.
- 이와 함께 이 당시의 중화학공업 육성이 국가장기발전전략과 경제발전의 관점에서 기간산업의 발전기반 구축의 의미를 지니는 만큼 장기적인 산업발전과 경제발전의 관점 및 방위산업의 육성이라는 비경제적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음.
- 이는 당시 중화학공업의 육성이 1960년대 경공업중심의 수출주도 공업화에 의한 경제성장의 한계를 극복하는 한편, 장기적으로 소득증대에 따른 국내의 내구재 소비수요에 대한 공급체계 구축의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임.
○ 긍정적인 평가는 이 시기의 중화학공업화가 당시 개도국으로서는 유례가 없는 산업구조의 고도화 달성에 크게 기여한 점에 주목함.
- 개도국의 특성과 단기적 관점에서 수익을 추구하는 민간 기업의 특성상, 중후장대형의 중화학공업화는 지나치게 투자가 부족하던지, 투자가 이루어지더라도 적절한 투자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음.
- 이러한 상황에서 당시 세계은행과 저명 경제학자들의 부정적 타당성 분석 결과에도 불구하고, 정부주도의 과감한 투자와 집중적인 지원을 통한 조기 중화학공업화의 기반을 구축한 것은 개도국으로서는 유례를 찾기 어려운 것임.
- 1980년대 후반 소위 삼저현상을 활용하여 만성적인 적자구조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 1970년 당시 정부가 집중 육성했던 중화학공업부문이 1980년대 후반의 수출 증대를 주도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.
- 특히 1990년대 말의 외환위기 극복과정과 2000년대 들어 중국이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을 때 중화학공업부문이 적지 않은 수출증대의 주요 역할을 하였다는 사실은 의미가 큼.
- 또한 최근의 세계 금융위기 회복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전자, 자동차 수출이 세계 시장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이러한 중화학산업발전의 기반이 있기 때문임.
'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고국에 정보 주다 美 교도소 갔던 로버트 김… 어머니 기일 맞아 고향 여수 방문 위해 입국 (0) | 2012.05.31 |
---|---|
보릿고개 때에 생각나는 사람, 故 朴正熙 대통령. (0) | 2012.05.29 |
김현장 공동대표님 최근뉴스들 ,,, (0) | 2012.05.15 |
김문수 경기도지사를 공직선거법위반으로 고발한다 ,,(여동활) (0) | 2012.05.14 |
박정희 대통령의 포항제철 건설 이야기 (0) | 2012.05.09 |